카테고리 없음

지역 건강보험료 계산하기

뉴스 애널리스트 2025. 11. 11. 14:30
반응형

지역 건강보험료 계산하기

 

 

직장인과 달리 보험료가 자동 계산되지 않는 지역가입자. 나의 소득과 재산 기준으로 건강보험료가 어떻게 책정되는지, 직접 계산하는 방법과 공단 조회 방법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란?

지역가입자란 직장에 소속되지 않고 자영업자, 프리랜서, 무직자 등의 형태로 국민건강보험에 개별 가입되어 있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건강보험료는 고정된 월급이 없는 만큼, 개인의 소득, 재산, 자동차 보유 여부 등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산정됩니다.


지역 건강보험료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2025년 기준,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소득 + 재산 + 자동차를 각각 점수화한 뒤, 총 점수에 단가(2025년 기준 약 225.5원)를 곱해 산정합니다.

✅ 주요 산정 항목

 

항목기준 예시
소득 종합소득, 임대소득, 사업소득 등 (전년도 기준)
재산 주택, 토지, 건물, 전세보증금 등
자동차 배기량, 차량 연식에 따라 반영
세대 구성 부양가족 수에 따라 차등 적용

※ 부동산 보유자나 차량 소유 시 보험료가 크게 오를 수 있습니다.

 


지역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 (직접 계산)

STEP 1. 각 항목별 점수 확인

  1. 소득 점수
    → [(종합소득 - 기본공제) ÷ 일정 금액]으로 점수화
    예) 2,000만 원 소득 → 약 90점
  2. 재산 점수
    → 전세 보증금, 부동산 공시지가 기준으로 점수화
    예) 공시가 2억 아파트 → 약 110점
  3. 자동차 점수
    → 1,600cc 이상 차량 → 최대 50점 반영

STEP 2. 총 점수 × 보험료 단가(2025년: 225.5원)

예시: 총 280점 × 225.5원 = 약 63,140원/월

 

📌 보험료는 매년 단가가 변동되며, 공단에서 자동 재산정합니다.

 

📌 지역 건강보험료 계산기 사용하기 


공단 공식 보험료 조회 방법

✅ PC에서 조회하기

  1.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
  2. ‘민원여기요’ 메뉴 선택
  3. ‘보험료 조회 → 지역가입자 보험료’ 클릭
  4.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로그인
  5. 나의 예상 보험료와 산정 내역 확인 가능

✅ 모바일 앱에서 확인하기

  1. ‘The건강보험’ 앱 설치
  2. 로그인 후 ‘나의 보험료’ 메뉴 선택
  3. 지역가입자 기준 자동 계산된 보험료 확인 가능

📌 소득·재산 변동이 있다면 재산정 요청도 가능합니다.


보험료가 너무 높게 나올 땐?

  • 소득이 일시적으로 발생했거나,
  • 실제 거주하지 않는 부동산이 재산에 반영됐을 때,
  • 자동차가 업무용인데 개인용으로 처리됐을 때

이런 경우엔 건강보험공단에 이의신청 또는 조정 신청이 가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직장 다니다 퇴사하면 바로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나요?
→ 네. 퇴사 후 익월부터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며, 퇴직금도 소득으로 반영될 수 있습니다.

Q. 피부양자 등록은 어떻게 하나요?
→ 소득·재산 기준 충족 시, 배우자나 부모 등에게 피부양자로 등록 가능

Q. 보험료 인하 가능한 방법은 없나요?
→ 전세보증금 축소, 차량 처분, 사업자등록 해지 등으로 보험료 조정 가능


결론: 지역가입자라면 보험료 구조를 꼭 알아두세요

직장가입자와 달리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개인 사정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신의 소득과 재산 구조를 기준으로 정확히 계산하고, 필요 시 공단에 조정 요청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국민건강보험 지역가입자 보험료 조회 바로가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