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전국 싱크홀 위험지역 지도 바로가기|서울·부산·대구 위험지역 한눈에 보기

뉴스 애널리스트 2025. 4. 16. 16:04
반응형

싱크홀 위험지역 지도 설명 이미지

 

전국 싱크홀로 인해 많은 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최근 서울에서도 싱크홀로 사고가 있었으며, 위험지역 지도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대한민국의 주요 도시인 서울·부산·대구 위험지역을 한눈에 보면서 우리 집 근처에도 싱크홀이 있는지 같이 한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싱크홀 위험지역 지도 바로가기를 통해서 미리 사전에 예방을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목차

     

     

     

     

     

     


    싱크홀이란? 발생 원인과 위험성

     

    싱크홀 발생 원인과 위험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를 해볼 수 있습니다.

     

    싱크홀의 정의

     

    싱크홀은 지반이 내려앉아 지면에 커다란 구멍이나 웅덩이가 생기는 현상입니다. 우리말로 쉽게 이해를 하자면 '땅꺼짐' 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싱크홀의 크기는 천차만별로 작게는 폭이 1m이며, 크게는 도시를 삼킬수 있을 만큼 거대한 종류가 있습니다. 

     

    최근 서울에서도 싱크홀이 발생하면서 인사사고가 일어났는데, 대체 왜 이런 싱크홀이 생기는지 발생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발생 원인

     

    싱크홀은 모든 땅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며, 지하 암석이 용해되거나, 기존의 동굴이 붕괴되어 생기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땅 밑의 지하수가 빠지면 땅굴의 천장이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무너지는 부분이며, 현재는 큰 도로이지만 과거에 땅굴 또는 지하수가 있던 곳의 땅에서 대체로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지하수의 경우에는 많은 양의 물을 끌여쓰면서 지반이 약해지며, 생기기도 합니다.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이유

     

    최근 10년간 서울에서는 216건의 땅 꺼짐이 생기며, 전국적으로도 대구, 부산 등 싱크홀이 확산이 되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확산이 되는 이유는 큰 비가 내리거나 지하철역 공사 현장 또는 연장 공사를 하는 대도시에 주로 생기고 있으며, 지반이 눈에 보이지 않지만 땅 밑의 공사를 통해서 많은 지반이 약해진 도시들로 인해 확산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재건축, 재개발이 많은 지역에서도 지하수를 뚫고, 지하주차장을 만드는 공사를 하는 경우도 싱크홀의 주된 발생 원인이기 때문에 현재 재건축, 재개발이 많은 대구, 부산, 서울 지역 중심으로 확산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2025 전국 싱크홀 위험지역 지도 총정리 

     

    전국으로 싱크홀 사고사례가 많아지면서 위험지역 및 지반이 좋지 않은 곳을 안전지도로 표기를 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전국 싱크홀 위험지도 관련한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싱크홀 발생 지도 보는 법

    싱크홀 발생 지도
    지반침하 및 안전평가 현황 통계



    2025년 기준으로 최신 싱크홀 정보는 국토교통부와 한국국토정보공사(LX)의 '지하공간통합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지도에서는 지하시설물, 지반정보, 지하구조물 정보를 3D 형태로 제공하여 위험 지역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또한, 지하안전정보시스템을 통해서 지반 침하 현황을 지역별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싱크홀 위험지도

     

    국토부 발표 기준 위험지역 구분 방법

     

    국토부 기준에서 위험도를 다음과 같이 분류를 하였습니다. 

     

    • 1등급 : 싱크홀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
    • 2등급 : 중간 위험군으로 정기점검이 필요한 지역
    • 3등급 : 저위험군이나 지하공사 시 주의 필요

     

    현재 싱크홀 사고 다발 지역은 어디일까?

     



    최근 서울에서 큰 싱크홀이 발생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2025년 싱크홀 사고 다발 지역 중 아래와 같은 곳에서 많이 발생을 하였으며, 확인해 보세요.

     

    • 서울 강남구, 송파구, 관악구 일부지역
    • 부산 해운대구 및 사상구
    • 대구 달서구, 중구 등 

    싱크홀 위험지도 확인 방법

     

    싱크홀 위험지도 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아래에서 자세하게 확인을 해보세요.

     

     

     

     

     

     

     

    정부 공공데이터 활용법

     

    • 국토교통부 '지하안전정보시스템(JIS) '이용 방법
    • 한국국토정보공사 LX '지하공간통합지도' 이용 방법
    • 공공데이터 포털 이용 방법

     

    가장 편리하게 이용을 할 수 있는 곳은 공공데이터 포털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아래에서 확인을 해보세요.

     

    공공데이터 포털 이용 방법

     

    현재 가장 편리하게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싱크홀 발생 지역의 현황을 한눈에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1. 공공데이터포털 홈페이지 접속
    2. 회원가입 후 로그인
    3. 데이터 찾기 클릭
    4. 검색창에 '싱크홀' 또는 ' 싱크홀 발생 현황' 검색
    5. 관련 정보 및 지도 확인


    결론 : 싱크홀 위험지도 필수 확인

     

    다른 나라에만 있던 대형 싱크홀이 대한민국에서도 많이 발생을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험지도를 필수로 확인을 해서 자주 싱크홀이 발생하는 곳이 주변에 있다면 피해서 이동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길을 걷다가 도로에 미세한 균열, 맨홀이 꺼지는 현상, 차량 주행 시 흔들림이 있다면 싱크홀 전조현상으로 관련 지자체에 문의를 하여 현장확인을 하도록 요청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또한, 싱크홀 관련하여 화재보험 내 '지반침하' 특약이 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